달아래 세가족

(The House for Three Families below the Moon)


파주시 목동동 다가구주택

집짓기 배경 이야기, 월하공방

달아래 세가족집은 파주시 목동동에 세워진 세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다가구주택이다. 패션디자이너이자 모델리스트였던 건축주는 매몰되었던 일을 그만두고 삶과 일에 대한 애정을 표출할 공방을 원했으며, 세 가족이 뒤쪽의 공원과 전면 도로 방향의 남향과 전망을 바라볼 수 있는 집을 원했다. 그리고 자식 같은 반려묘를 위한 전용 공간과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공간을 요청했다. 달아래(월하공방)는 건축주의 패션 공방의 이름이면서, 이 집의 설계 모티브가 되었고, 밖에서 또는 안에서 집을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보름달, 상현달, 초승달 이미지가 나타난다.

형태와 구성에 대하여

집은 가로세로가 두 번 교차되는 크로스오버 평면과 단면을 가진다. 한 세대가 한 개 층씩 생활하는 것이 일반적인 다가구주택의 형태와 생활 유형이나, 그렇게 해서는 건축주의 의뢰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았다. 앞쪽은 볕이 좋은 남향이고, 뒤쪽은 북향이며 앞에 공원이 있는 조건 아래, 건축주의 요청에 따라 전 세대가 남향 볕을 받으면서 공원을 볼 수 있는 크로스오버 주택이 완성됐다. 건축주의 부모님을 위한 세대는 연세를 고려하여 1층에 배치됐으며, 도로쪽으로부터는 다소 막혀있고, 일부 남향 볕을 받을 수 있으면서 1층 작은 정원 2개와 북향의 공원을 바로 면한다. 이제 두 세대는 2층, 3층, 다락의 복층 세대를 구성하되 2층에서 동서를 3층에서 남북을 나눠 가진다.

집을 만들었던 과정

이전에 없었던 개념의 3층 주택이라 배관의 이동 경로, 골조의 배치, 전기 콘센트의 위치 등을 시공 당시 일일이 현장팀에 알려줘야 했다. 3층에서 두 세대 각자 남향으로 면한 커다란 외부 테라스도 가져갈 수 있었다. 1층의 아치창의 디자인과 카페처럼 구성된 거실은 가족애가 많은 건축주의 부모님을 위한 배려다.

달의 형태를 닮은 창은 집에서 가장 감성적인 공간이면서, 마치 단독주택에 사는 듯한 분위기로 만든다. 이 집의 백미 중에 하나는 건축주의 고양이들을 위한 공간이다. 호두와 콩이 두 냥이를 위한 방이 있으며 감성적인 벽과 문, 냥이들이 골골송을 부를 수 있는 삼각 프리즘 창 등이 있다. 3층에는 형태에 따른 자연스러운 높은 층고의 안방이 있고, 맨 위 공간에는 두 개의 다락이 있다.

뒤에 숨겨진 이야기

패션디자이너인 건축주는 디자인을 알아보는 안목이 있어, 골조의 태생적 흔적을 남겨두고 싶었던 건축가의 1층의 노출 기둥 존치에 동의해 주었다. 루나 테라스는 형태적인 것과 디자인을 위한 것도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건축의 멋이 느껴지는 공간이길 바랐다. 건축가가 형태와 기능, 재정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 달과 같은 운치와 감성을 집에 머물게 했던 옛 선조의 안목을 현대적으로 모방한 결과물이다.


대지면적ㅣ269.50m² (81.52py)

건축면적ㅣ154.93m²  (46.87py)

연면적ㅣ305.45m²  (92.40py)

건축규모ㅣ지상 3층

건축구조ㅣ철근콘크리트

주요마감ㅣ치장벽돌, 금속지붕


Tel. 070-4223-3224 | Fax. 0504-239-4345 | h20583224@gmail.com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541-18 태영빌딩 503 ㅣ License 321-86-00240